스프링 Filter 만들기 스프링 Filter 사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간단하게 매 요청 URL을 이클립스 콘솔창에 찍어주는 필터를 만들어 볼게요. 우선 기본 인터페이스인 Filter를 구현한 커스텀 필터 클래스를 하나 만들어 줍니다. [PrintURLFilter.java] Filter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init(): 필터 인스턴스 초기화doFilter(): 전/후 처리destroy(): 필터 인스턴스 종료 위 코드에서 1. init()를 보시면getInitParameter()로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아래에서 보실 [web.xml]에서 필터를 등록할 때 파라미터를 설정해주었는데, 그것을 받아 사용한 것입니다. 사실... 이게 굳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생각을 해 봤는데.. [web.. HTTP, HTTPS의 차이 HTTP와 HTTPS의 차이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같이 공부하는 분이 면접때 질문을 받았다고 하네요.간단히 정리해봅니다. HTTP는 인터넷에서 통신을 할때 '이런 식으로 정보를 주고 받겠다.' 하는 일종의 규약입니다.(참고: HTTP의 정의, 특징) HTTP는 그저 단순히 텍스트를 교환하는 방식입니다. 즉, 암호화 처리가 전혀 되지 않았습니다.누군가가 그 정보를 가로채 악용될 소지가 다분하죠. 이를 보완한 것이 바로 HTTPS입니다. S는 SSL(Secure Socket Layer: 보안 통신망)에서 따온 것입니다.SSL은 인터넷 계층 중 4번째에 해당하는 계층입니다.(참고: 현재 명칭은 TLS로 변경되었는데, 아직 SSL을 더 많이 사용하는 듯 합니다.) 즉, HTTPS는 텍스트를 보낼 때 SSL을.. Web Server(웹 서버), Web Application Server(WAS)의 차이 인터넷을 뒤져보다가 웹 서버와 WAS가 다른 것을 알게되었습니다.이와 관련해서 아파치와 톰캣 역시 다르다고 하더군요. 한번 알아본 것을 정리해보겠습니다.(우선 아파치는 웹서버이고, (아니라는 의견도 있지만)톰캣은 WAS입니다.) 사실 용어를 본다면, 웹 서버에서 Application이라는 단어만 추가된 것입니다.이 부분이 의미하는 것이 뭔지 생각해보는 것이 기억에 잘 남을 것 같네요. Web Server(웹 서버): 정적 데이터(html, css img....) 처리Web Application Server(WAS): 정적 데이터(html, css img....)+ 동적 데이터(jsp, asp, Servlet, php....) 처리 WAS는 웹 서버(정적 데이터 처리), 웹 컨테이너(동적 데이터 처리)가 .. Filter, Interceptor, AOP 개발을 하다보면, 공통적으로 처리해야 할 업무들이 많습니다.예를들어 로그인 관련 체크, 로깅, 문자 인코딩, 필터링 등이 있죠. 이러한 처리들을 필요한 부분마다 실행시킬 수 있지만 프로젝트 단위가 커질수록 코드의 중복이 늘어나서 서버에 많은 부하를 주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사용 위치와 범위에 맞게 일괄처리를 해 주어야 하는데요.그와 관련된 방식이 Filter, Interceptor, AOP 세가지 있습니다. 세 가지 개념이 모호해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1. Filter(필터) 위 그림과 같이 필터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Context(영역) 밖에 있습니다. (스프링과 무관하게 J2EE 표준 스펙) 따라서 스프링에서 빈으로 등록된 컨트롤러나 서비스 객체의 사용이 어렵고,웹 애플리케이션 전반에 걸친 모든.. 2750번) 수 정렬하기 정보처리기사 취득할 때 공부한 내용입니다. 버블 정렬, 선택 정렬,,, 등 많은 정렬 알고리즘이 있는데 저는 그 중, 제일 직관적인 느낌이 드는 '삽입 정렬'을 사용해 해결했습니다. 삽입 정렬에서 포인트는, 1. 기준이 되는 수를 for문의 지역변수에 저장해 놓는다. 2. while문으로 하나씩 앞으로 가며, 크기를 비교한다. ---> 조건을 만족한다면 계속 그 수를 오른쪽으로 한칸씩 밀어넣는다. (이때 그 자리에 한칸이 계속 비는데 이는 while이 끝나면 위에서 저장한 기준을 넣어줍니다.) 예제의 정렬 과정을 풀어보면 이렇습니다. 아래는 코드입니다. 쿠키와 세션 쿠키와 세션에 대해 정리해보는 포스팅입니다. 우선 이 둘의 존재목적은 HTTP의 약점인 Connectless(비연결성), Stateless(무상태성)을 보완하기 위함입니다.즉, HTTP가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유지해주기 위해서(클라이언트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둘의 정의를 먼저 알아보면 쿠키: 클라이언트에 키, 값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파일- 이름, 값, 만료 날짜(저장 기간), 경로가 들어있음 세션: 클라이언트 - 서버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되고 있는 그 상태자체: 클라이언트가 처음 접속했을때 서버의 엔진이 클라이언트에 부여하는 유일한 ID 둘의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쿠키1. 서버에 요청2. 서버는 쿠키를 만들어 응답(Response)과 함께 클라이언트에 전송3. 클라이언트는 이후 요청시.. HTTP의 정의, 특징 웹을 공부하면서 HTTP에 대한 개념을 정리한 적이 없었네요. 정리해보는 포스팅입니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규약, 규격)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규약, 혹은 규칙을 말합니다. 여기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는 것은 아래와 같이 클라이언트, 서버간의 정보교환을 말합니다. 클라이언트 ---------- 요청(Request) -----------> 서버 클라이언트 6064번) 카잉 달력 시간이 많이 걸린 문제입니다. 풀긴 했지만, 다른분의 코드를 보고 이해했다고 보는게 맞겠네요. 아래는 처음 제가 시도해본 코드입니다. -> 메모리부족 맞았다고 확신해서 주석도 일일이 달고 있었는데 메모리부족이 떴습니다. 문제의 핵심이 M, N의 최소공배수인 lcm(M, N)만큼 for문을 다 돌리지 않는 것인듯 하네요. 예를들어 위의 박스 친 부분과 같이 M을 고정하고, N만큼만 반복해서 규칙을 찾아야 합니다. 아래가 정답 코드입니다.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