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귀함수의 쓰임은 무한루프만?? 참조: 재귀함수가 무한루프에 빠지지 않기 위한 조건 2가지 재귀함수가 성립되기 위한 조건들을 보시면,수학에서의 귀납법과 굉장히 닮아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귀납법은 어떤 명제를 증명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1. n = 1-> 명제가 성립함을 확인2. n = k - 1 명제가 성립함을 가정 -> n = k 명제가 성립함을 확인---> 위 1, 2가 성립하면 해당 명제는 참! 뭐 대강 이런식인데,재귀함수의 성립 조건과 상당히 닮아 있습니다. 고로,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할수 있습니다.여기엔 반복문도 포함해, 정말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 가능합니다. 굳이 이렇게 언급하는 이유는,,, 재귀함수라 하면대부분 무한루프와 관련된, 혹은 비슷한 문제만 해결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어떠한 문제가 주어졌.. 재귀함수가 무한루프에 빠지지 않기 위한 조건 2가지 재귀함수는 공부할 때도 많이다뤄보지 못했지만,실무에서 꽤나 중요한 것 같습니다. 뭐.. 검색해보니 의견이 반반인 것 같지만.. 현재 다니는 회사의 면접을 볼때에도팀장님이 따로 중요하다고 말씀하기도 하셨구요. 여튼 간단히 기억해두면 좋을 것 같아 정리해둡니다. 재귀함수가 무한루프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1. 무한루프에 빠지지 않을 적어도 하나의 경우가 존재해야 한다.2. 재귀를 반복하면 결국 위 경우에 수렴해야 한다. 여기서 '수렴'은 재귀함수에 들어가는 매개변수의 형태로 표현하시면 됩니다. 시간복잡도란? 대강 뜻만 알면 되겠지 하고 자세히 알아본 적이 없었네요.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어떠한 알고리즘의 자원의 사용량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이슈입니다.얼마나 잘 짜여져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기 때문이죠. 여기서 자원이란실행 시간, 메모리, 저장장치, 통신 등 말 그대로해당 알고리즘을 돌리는데 사용되는 모든 재료를 말합니다. 이러한 여러가지 자원 중 표현하기 가장 좋은 것이 실행시간이겠죠. 하지만 실행시간으로 자원의 사용량을 나타내기에는 문제점이 있습니다.실행시간은 하드웨어, 운영체제, 언어, 컴파일러 등 실행 환경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환경에 구애받지 않는 관측도구를 사용한 점근적인 접근이 필요한데,이것이 바로 시간복잡도입니다. 다시말해 시간복잡도는,실행시간 대신 연산의 실행횟수를 카.. @SuppressWarning란? 생에 첫 (실제)프로젝트의 소스 분석을 시작했습니다.신입 주제에 딱 하루 출근하고,, 4일동안 예비군중이라 다음주가 좀 걱정되기도 하네요. 소스에 처음보는 @SuppressWarning이라는 어노테이션이 있어 간단히 남깁니다. 기본적으로 컴파일러의 경고수준은 최대로 켜져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이는 당연한 것이고, 사용해야 하는 입장에서 봤을 때불필요한 컴파일 경고를 최대한 없앨수록 프로그래머에 대에 높은 신뢰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럴 때 @SuppressWarning가 사용됩니다. 특히 제네릭을 사용할때 unchecked ~~ 와 같은 컴파일 경고 메세지가 많이 발생하는데,이를 그대로 둔다면 컴파일 시 ClassCastException이 발생하기 때문에코딩시 해당 부분을 없애기 위해 많은 노력을.. 10828번) 스택 시간낭비를 많이 한 문제입니다. 이유는.. 스캐너의 nextInt() 메서드를 사용하면 엔터를 칠때 발생하는 개행문자(\r\n)가 버퍼에 그대로 남아있어서.. 바로 다음에 nextLine() 함수를 사용하면 하나를 건너뛰어버려서 꼬이게 됩니다. int N = Integer.parseInt(scanner.nextLine()); 처럼 먼저 nextLine()으로 입력받아 개행문자를 처리한 뒤 Int형으로 변환시켜주시면 됩니다. 앞으로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아래는 코드입니다. 면접질문 리스트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이종립님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정규화란? 정규화를 이해하려면, 우선 이상(Anomaly)에 대해 알 필요가 있습니다. 이상: 한 릴레이션에서 일부 속성들의 함수적 종속으로 인해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하는 것-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이 존재 다시말해, 자료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피해야할) 종속성을 가지고 있어데이터 처리시 모순이 발생하는 것을 이상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함수적 종속이란, 한 속성이 다른 속성의 값을 유일하게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X -> Y: Y는 X에 종속) 정규화는 바로 이러한 자료의 이상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입니다.각각의 정규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제 1 정규형(1NF): 모든 속성의 도메인이 원자값으로 구성(원자값은 단일값을 말하며, 즉, 복합값, 다중값이 아닌 값을 말합니다.) (출처: http://..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