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Query 이벤트 위임 현재 존재하는 자손요소뿐만 아니라 나중에(동적으로) 추가될 자손요소에게 이벤트를 위임을 할 수 있습니다.추가될 자손요소의 수가 적다면 일일이 이벤트 처리를 할 수 있지만,,, 그 수가 크고, 정확히 알 수가 없다면 곤란해집니다. 가령.. 새로 추가될 자손요소가 li > a 태그이고, 그 모든 자손요소에 "click"시 alert(11)이라는 함수를 발생시키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한다면, 에러가 뜹니다. 추가로,,,자손 요소가 들어가는 부분은,, 꼭 이벤트를 최종으로 받는 요소일 필요는 없습니다.
Ajax의 Content-Type .ajax로 서버에 데이터를 보낼때, header 중 Content-Type 이 존재하는데 이를 설정하지 않았을 땐 default 값으로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charset=UTF-8 타입으로 지정됩니다. 따라서 json 형태의 데이터를 주고 싶을 땐, header:{"Content-Type":"application/json"} 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또 한가지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request 안에 포함된 json 형태의 데이터를 받았을 때, 이것을 보통 VO(혹은 DTO)에 다시 담아 사용하는데,, .ajax는 데이터를 문자열화 해주지 않기 때문에 보낼 데이터를 JSON.stringify()로 감싸주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시,, json..
스프링에서 다음으로 값을 넘겨줄 때 이름을 지정해주지 않으면,, 파라미터 타입의 앞글자를 소문자로 바꿔 전송됩니다.비슷하게 넘겨주는 각종 처리도 마찬가지. Criteria cri로 받았을 땐, 따로 명시해주지 않아도cri로 전달이 잘 되었는데,, 정확하게는 잘 모르겠습니다.
스프링을 쓰는 이유 - 1. DI(의존 주입) + IOC(제어의 역전) - DI(의존 주입)- IOC(제어의 역전) 아무 스프링 책을 펼치시면 가장 먼저 나오는 단어들입니다. - DI: '의존관계에 있는 객체를 생성하지 않아도, 그 종속객체를 사용할 수 있는 것' 여기서 의존관계란 쉽게,, 하나의 객체에서 다른 하나의 객체를 사용하는 관계를 말합니다. 뭐.. 예를 들어 A 클래스 내에서 B 클래스를 사용한다면,, A와 B는 의존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엄밀히는 'A가 B에 의존', B가 변한다면 A가 변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클래스 내에서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객체를 생성해주어야합니다.public class A { /** * new B();와 같이 객체를 생성해주어야 함 */ B b = new B(); b.method1(); } 스프링에서는 아래와..
Ajax 구성 Ajax란 비동기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A j a x: Asynchronos(비동기적인) javascript and xml'비동기적인 자바 스크립트와 xml'인데,, 여기서 말하는 '비동기적'이란 의미는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응답을 요청 보내고 받을때,,,따로 서버의 응답을 받을 필요가 없이 애플리케이션이 계속 돌아간다는 뜻입니다. 페이지를 전체를 리로딩하지 않고,,java script를 이용해현재 페이지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골라서 즉각적으로 받을 수 있는 기술이라고 보면 될 듯합니다. 장점 ~ 페이지 이동없이 고속으로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서버 처리를 기다리지 않고, 비동기 요청이 가능하다.~ 수신하는 데이터 양을 줄일 수 있고, 클라이언트에게 처리를 위임할 수도 있다. 단점 ..
web.xml 한글 인코딩 필터(force) web.xml에 넣어 사용하시면 됩니다.db의 한글 인코딩 세팅,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각종 파일들의 인코딩 세팅이 완벽한데도 한글이 깨진다면 encodingFilter가 설정되지 않았을 확률이 큽니다.
<script>영역에서 표현언어(EL) 사용 영역에서 파라미터를 잡을 때,,--> ""('') 사용
@RestController와 @Controller의 차이 현재 개인 프로젝트로 Rest 방식으로 설계된 게시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초기에,, Rest 방식은 무조건 @RestController를 사용하면 되겠지..했는데 그건 또 아니더군요. 이유는 @RestController가 view 페이지를 리턴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는데요. 그래서 view가 따로 필요한 부분은 @Controller로 선언해 진행하자.며 진행을 하다가이번엔 또 반대로 @ResponseBody가 필요한 부분이 따로 생겼습니다. 해서,,, 갑자기 @RestController와 @Controller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해져 검색을 해보니...@RestController에서는 @RequsetMapping이 @ResponseBody를 가정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대강, @RestControl..